Python/알고리즘
-
최대공약수 계산 (유클리드 호제법)Python/알고리즘 2022. 8. 30. 16:54
● 유클리드 호제법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 > B)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고 합시다. 이때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습니다. ● 예시 GCD(192, 162) def gcd(a, b): if a % b == 0: return b else: return gcd(b, a%b) print(gcd(192, 162)) 6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7C9RgOcvkvo&list=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index=4
-
알파벳/숫자 확인Python/알고리즘 2022. 8. 27. 01:31
isalpha() 1. 영어 가능 (True) 2. 숫자 불가능 (False) 3. 띄어쓰기 불가능 (False) 4. 특수문자 불가능 (False) 5. 한글 가능 (True) isdigit() 1. 숫자 가능 (True) 2. 영어 불가능 (False) 3. 띄어쓰기 불가능 (False) 4. 특수문자 불가능 (False) 5. 한글 불가능 (False) isalnum() 1. 숫자 가능 (True) 2. 숫자+영어 가능 (True) 3. 띄어쓰기 불가능 (False) 4. 특수문자 불가능 (False) 5. 숫자+한글 가능 (True) 출처 : https://velog.io/@cutehuman/Python-%EC%95%8C%ED%8C%8C%EB%B2%B3or-%ED%95%9C%EA%B8%80%EC%..
-
구현 유형 문제풀이 < 왕실의 나이트 >Python/알고리즘 2022. 8. 25. 22:16
문제 설명, 조건 ●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x 8 좌표 평면입니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있습니다. 나이트는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매일 무술을 연마합니다. ● 나이트는 특정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1.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2.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 이처럼 8 x 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h로 표현합니다. c2에 있을 때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6가지입니다. a1에 있을 때..
-
구현 유형 문제풀이 < 시각 >Python/알고리즘 2022. 8. 25. 21:17
문제 설명, 조건 ● 정수 N이 입력되면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각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예를 들어 1을 입력했을 때 다음은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서야 하는 시각입니다. 00시 00분 03초 00시 13분 30초 ● 반면에 다음은 3이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면 안 되는 시각입니다. 00시 02분 55초 01시 27분 45초 ●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정수 N이 입력됩니다. (0